반응형
지난 10년간 각 시도 및 지역별 인구 증감은 어떻게 변화했을까요?
1. 시도별 인구 증감 및 증감 원인
-
- 순이동: 서울의 경우, 순이동 인구가 -930,631명으로 가장 큰 폭의 감소를 보였습니다. 이는 서울의 인구 감소가 주로 타 지역으로의 이동 때문임을 나타냅니다.
- 하지만, 서울은 출산, 사망, 이민 등 기타 요인으로 인한 인구 변화가 163,685명으로 관찰되었습니다. 이는 인구 감소의 일부를 상쇄하는 역할을 했습니다.
행정구역(시군구)별 | 2022년 | 2022년 - 2012년 증감 | 인구 증감 원인 | |||
총인구수 (명) | 인구 비중 | 총인구수 (명) | 증감율 | 지역별 순이동 | 출산, 사망, 이민 등 | |
전국 | 51,439,038 | 100% | 490,766 | 1% | 0 | 490,766 |
서울특별시 | 9,428,372 | 18.3% | -766,946 | -7.5% | -930,631 | 163,685 |
부산광역시 | 3,317,812 | 6.4% | -220,672 | -6.2% | -193,077 | -27,595 |
대구광역시 | 2,363,691 | 4.6% | -141,953 | -5.7% | -151,601 | 9,648 |
인천광역시 | 2,967,314 | 5.8% | 123,333 | 4.3% | 66,376 | 56,957 |
광주광역시 | 1,431,050 | 2.8% | -38,166 | -2.6% | -60,556 | 22,390 |
대전광역시 | 1,446,072 | 2.8% | -78,511 | -5.1% | -110,068 | 31,557 |
울산광역시 | 1,110,663 | 2.2% | -36,593 | -3.2% | -74,146 | 37,553 |
세종특별자치시 | 383,591 | 0.7% | 270,474 | 239.1% | 252,097 | 18,377 |
경기도 | 13,589,432 | 26.4% | 1,496,133 | 12.4% | 1,143,606 | 352,527 |
강원특별자치도 | 1,536,498 | 3.0% | -2,132 | -0.1% | 31,210 | -33,342 |
충청북도 | 1,595,058 | 3.1% | 29,430 | 1.9% | 34,022 | -4,592 |
충청남도 | 2,123,037 | 4.1% | 94,260 | 4.6% | 101,043 | -6,783 |
전라북도 | 1,769,607 | 3.4% | -103,734 | -5.5% | -65,146 | -38,588 |
전라남도 | 1,817,697 | 3.5% | -91,921 | -4.8% | -36,622 | -55,299 |
경상북도 | 2,600,492 | 5.1% | -97,861 | -3.6% | -47,265 | -50,596 |
경상남도 | 3,280,493 | 6.4% | -38,821 | -1.2% | -43,303 | 4,482 |
제주특별자치도 | 678,159 | 1.3% | 94,446 | 16.2% | 84,061 | 10,385 |
- 경기도로 무려 114만 3,606명이 10년간 다른 지역으로부터 순유입되었습니다. 신도시 개발, 산업 확장, 교통망 개선, 일자리 확대 등이 주요 요인으로 보입니다.
- 특히, 세종시는 전체 인구 38만 3,591명 중 25만 2,097명이 순 유입된 인구입니다. 지난 10년간 인구 증가율이 239%나 됩니다. 정부청사 이동이 가장 큰 역할을 했습니다.
- 서울, 부산, 대구 등 주요 대도시에서 인구 감소가 두드러졌습니다. 이는 높은 주거비용, 삶의 질 추구, 직업 기회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.
- 인천과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인구가 증가했습니다. 이는 신도시 개발, 산업 확장, 교통망 개선 등이 인구 유입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인구 변화는 향후 도시 계획, 주택 정책, 교통 인프라 개발, 교육 및 보건 서비스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.
2. 인구 이동과 출생, 사망 등에 의한 인구 변화가 모두 마이너스 인 지역
인구 순이동과 이동 외 증감 요인이 모두 마이너스인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부산광역시: 순이동: -193,077명 이동 외 요인: -27,595명 총 인구 변화: -220,672명 증감율: -6.24%
- 전라북도: 순이동: -65,146명 이동 외 요인: -38,588명 총 인구 변화: -103,734명 증감율: -5.54%
- 전라남도: 순이동: -36,622명 이동 외 요인: -55,299명 총 인구 변화: -91,921명 증감율: -4.81%
- 경상북도: 순이동: -47,265명 이동 외 요인: -50,596명 총 인구 변화: -97,861명 증감율: -3.63%
3. 인구 이동과 출생, 사망 등에 의한 인구 변화가 모두 플러스인 지역
순이동과 이동 외 증감 요인이 모두 플러스인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인천광역시: 순이동: +66,376명 이동 외 요인: +56,957명 총 인구 변화: +123,333명 변동율: +4.34%
- 세종특별자치시: 순이동: +252,097명 이동 외 요인: +18,377명 총 인구 변화: +270,474명 변동율: +239.11%
- 경기도: 순이동: +1,143,606명 이동 외 요인: +352,527명 총 인구 변화: +1,496,133명 변동율: +12.37%
- 제주특별자치도: 순이동: +84,061명 이동 외 요인: +10,385명 총 인구 변화: +94,446명 변동율: +16.18%
이러한 지역에서의 인구 증가는 순이동(타 지역에서의 유입)과 출산 증가, 사망률 감소, 이민 등 이동 외 요인 모두가 긍정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. 이는 해당 지역의 경제적, 사회적 환경이 인구 유입에 유리하게 작용했음을 시사합니다.
반응형
'경제경영통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한민국 연령별 인구 추이 : 1960년~2072년 연도별 변화 (0) | 2024.01.18 |
---|---|
대한민국 전기차 시장 확대: 2022년 전기차 판매 인기 모델 순위 (0) | 2024.01.14 |
대한민국 시도 지역별 인구 변화 (2012 ~ 2022) (0) | 2023.12.25 |
전세계 메시지앱 순위 및 사용자수, 왓츠앱, 위챗, 페이스북메신저 사용자수 (0) | 2023.11.29 |
마케팅에 가장 많이 활용하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(0) | 2023.11.27 |
댓글